[이기라 교수] 2000년 전 고대 황금실크, 키조개로 되살렸다.포스텍 연구진, 버려지던 키조개로 ‘시실크’ 재현 국내 연구진이 고대 황제들만 누렸던 최고급 섬유를 과학 기술로 되살려냈다. 포스텍의 황동수 환경공학부·시스템생명공학과정·융합대학원 교수,…2025-07-22
이기라 교수 포항시·코스맥스·포스텍, MOU 체결포항의 우수한 바이오 인프라와 연계로 시너지 효과 기대 산·관·학 긴밀한 협력 체계 구축으로 화장품 산업 신성장동력 발굴 포항시와 코스맥스, 포스텍은…2025-01-01
[이기라 교수] 과기정통부, ‘한계 도전 연구개발 프로젝트’ 12개 과제 선정한국형 DARPA 프로젝트 ‘하이 리스크·하이 리턴’ R&D 사업 과기정통부, 12개 과제 선정해 지원 2028년까지…연구팀에 전권 부여 국가적인 기술 난제를…2025-01-01
고분자학회, ‘ESG 폐플라스틱 재활용 심포지엄 개최전세계적으로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중요해 지면서 ESG 경영을 위한 폐플라스틱 자원화 기술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. 한국고분자학회(회장…2024-01-16
[축하합니다] 우수논문발표상 (영어/ 김유진) ; 2023년 춘계 고분자 학회김유진 박사 과정생의 우수 논문 발표상 (구두 발표 / 영어) 수상을 축하합니다. “Symmetric and asymmetric colloidal clusters by colloidal fusion”…2023-04-17
고이온전도성·고강도 고체전해질로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 ‘성큼’ [기사 전문] 배터리 스타트업 유뱃(대표 이창규)이 포스텍 이기라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우수한 이온전도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고분자 고체전해질을 개발했다고…2023-02-08
LG에너지솔루션, 포항공대와 배터리 기술 등 협약LG에너지솔루션, 포항공대와 배터리 기술 등 협약 (배터리혁신 연구센터장:이기라 교수) [기사 전문] LG에너지솔루션 최고기술책임자(CTO)인 신영준 전무(왼쪽)가 18일 18일 포항공과대학교 대학본부에서 김무환…2023-01-23
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…위조 방지 장치·라이다 센서에 활용 가능성 ↑ [이기라 교수팀, 미(Mie) 산란 강하게 일으키는 구형 나노입자 대량 생산 기술 개발] 하늘의 구름은 왜 하얗게 보일까? 우유는 왜…2022-10-13
원하는 빛 골라서 반사하는 거울 개발…디스플레이에 활용 가능포항공대-성균관대 공동 연구 연구 관련 이미지 [포항공대 제공. 재판매 및 DB 금지] (포항=연합뉴스) 손대성 기자 = 국내 연구진이 원하는 빛만…2022-10-10
고분자학회,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 심포지엄 개최 한국고분자학회가 탄소중립 및 ESG경영의 세계적인 이슈를 주제로 포스트 플라스틱 시대를 대비한 산학연간 협력방안 모색에 나선다. 한국고분자학회(회장 윤호규)는 오는 3월3일…2022-08-24
“저온용 초전도 코일 열적 안정성, 최고 수준으로 높여”기초지원연·포스텍 “에폭시 접착제 열 전도도 획기적으로 향상” 개질된 질화붕소가 섞인 접착제를 바른 초전도 코일 [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. 재판매 및 DB 금지]…2022-02-28